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매주 투자 챌린지] ETF 매수 - 2주차 인증 + ETF 기초정보(상품명)

by 마룬 버핏씨 2024. 4. 6.

지난주부터 습관적인 지출들을 줄여서 하루라도 빨리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매주 ETF를  매수하는 투자 챌린지를 시작했습니다. 이번주에도 2주 차 인증으로 투자 챌린지를 이어가겠습니다. 더불어 ETF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내용(상품명)과 투자대상인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 100(TR)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TF 매수 2주차 인증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ETF 이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투자대상 ETF 2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ETF의 기초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F 상품명만으로도 그 ETF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2016년 한국거래소가 ETF 상품명을 짓는 규칙을 정해놓았기 때문인데요. 규칙은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 사례를 갖고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ETF 이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사례를 들어서 보여주는 표입니다.
ETF 상품명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 (1) 운용사 브랜드명 : 첫 번째 부분은 운용사 브랜드명입니다. ETF를 운용하는 투자자산 운용사가 국내에 약 15개 사가 되는데요, 각 회사마다 브랜드명을 따로 정해놨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키움투자자산운용은 KOSEF, 삼성자산운용은 KODEX입니다.
  • (2) 지역 : 두번째 부분은 투자대상 지역입니다. 국내는 따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 (3) 기초지수 또는 투자대상 :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 또는 투자하는 대상을 표시합니다. 예시로 들어놓은 "TIGER미국나스닥100"의 기초지수는 NASDAQ100, "KOSEF200선물레버리지"의 기초지수는 코스피200선물지수인 것을 이름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액티브 투자하는 ETF 같은 경우에는 "FOCUS혁신기업액티브"는 투자대상이 혁신기업인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4) 운용방식 : 기초지수를 어떤 방식으로 따라가는지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기초지수 그대로 따라 가는 ETF, 즉 기초지수가 1% 오를 때 ETF 가격도 1% 오르는 경우에는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초지수가 1% 오를 때 ETF 가격이 2% 오르는 것은 "레버리지", 1% 내리는 것은 "인버스", 2% 내리는 것은 "인버스2X"라고 표시합니다.
  • (5) 기타 : 마지막으로 합성, 환헷지(H), 배당금 재투자(TR) 여부 등을 표시합니다. 합성은 직접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을 통해 기초지수와 동일한 수익을 내도록 구성한 ETF를 의미합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매주 투자하고 있는 ETF를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 KODEX 미국S&P500(TR) ☞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서 배당금을 재투자(Total Return)
  • KODEX 미국나스닥100(TR) ☞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미국 NASDAQ100 지수를 추종하는 배당금을 재투자(Total Return)

 

투자대상 ETF 개요

구분 KODEX 미국 S&P500 TR KODEX 미국 나스닥100 TR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상장일 2021.04.09. 2021.04.09.
기초지수 S&P 500 Total Return Index NASDAQ 100 Total Return Index
총보수 0.0500% 0.0500%
기타수수료 0.1120% 0.1511%
시가총액 9,745억원 7,357억원
주요
보유종목
SPDR S&P500 ETF(SPY), 7.82% Microsoft, 8.37%
Microsoft, 6.21% Apple, 6.97%
Emini S&P500 FUT(ES) 2024 06, 5.40% NVIDIA, 5.99%
Apple, 4.95% Nasdaq 100 2024 03, 5.05%
NVIDIA, 4.44% Amazon.com, 4.99%

 

먼저 기초지수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S&P500 Total Return Index :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500개 대형주의 주가를 반영한 총수익(Total Return) 지수입니다. 시가총액, 유동성, 유동비율, 산업대표성 등을 고려하여 500 종목을 선정하고, 유동 시가총액 가중으로 구성종목 비중을 결정했습니다. 또한, Total Return(TR) 지수로서 구성 종목의 가격 변동 및 배당 수익을 포함합니다.
  • NASDAQ100 Total Return Index : 미국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100개 기업의 주가를 반영한 총수익(Total Return) 지수입니다. 앞서 설명한 지수처럼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종목 중 시가총액, 유동성 등을 고려하여 100개 기업을 선정하고, 매분기 수정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종목 비중을 결정하고 구성 종목의 가격 변동 및 배당 수익을 포함한 지수입니다. 

두 번째로 눈여겨보셔야 할 것은 공시된 총보수는 0.05%로 매우 낮아 보이지만, 사실 숨어 있는 기타 수수료가 총보수의 2~3배가 된다는 사실입니다. 기타 수수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확인하는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요 보유종목을 꼭 보셔야 합니다. 직접투자로 보유하고 있는 종목 또는 다른 ETF에서 보유하고 있는 종목과 겹칠 경우, 원치 않게 특정 종목의 포트폴리오 비중이 올라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니 ETF 선택 시 ETF의 보유종목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ETF 매수 2주 차 인증

이번주는 챌린져스 상금(6,000원) + 지난주 줄인 음식/커피값(29,000원) + 생일선물로 받은 돈(130,000원)을 합쳐 총 165,000원을 투자했습니다. KODEX 미국S&P500 TR 5주 82,225원 + KODEX 미국나스닥 100TR 5주 80,300원 = 총 162,525원입니다. 생일선물로 받은 돈으로 물건을 사고 싶은 마음도 있었는데, 올해부터는 너나위님의 「월급쟁이부자로 은퇴하라」라는 책에 나온대로 생산성이 있는 자산을 사는데 쓰기로 했습니다. 생산자산은 나중에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으니, 시간을 직접 투입하지 않아도 돈을 벌어다줄 것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ETF 매수 2주차 인증

 


이번 포스팅에서는 투자 챌린지 2주차 인증뿐만 아니라 ETF 상품명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주의 투자 챌린지는 평소보다 조금더 의미가 있는데요. 지출을 줄이기만 한 게 아니라 추가로 생긴 수입으로 ETF를 매수한 점 떄문입니다.. 그렇게 하는 게 ETF 투자 챌린지를 시작한 초심에 맞다고 생각해서 소비하고 싶은 마음을 꾹꾹 눌렀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아쉬운 마음도 있었지만 그만큼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하니 뿌듯한 마음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매주 투자 인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