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14

[ETF] ETF 선택시 필수 점검사항!! ETF는 우리나라에서 2002년 최초 출시 이후 20여 년 만에 시장규모가 100조 원에 이를 만큼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일반펀드보다 비용이 낮고, 투명성 및 환금성이 높은 데다가 최근 해외주식, 채권, 원자재, 테마 등 다양한 ETF까지 출시된 것이 인기의 비결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한편으로는 850여 개나 되는 ETF 중에서 어떤 것을 골라야 하는지 막막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 선택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F 선택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들은 ①시차총액, ②수수료, ③구성종목, ④추적오차와 가격괴리율, ⑤자산운용사입니다. 각각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①시가총액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에서 시가총액이 큰 것을 선택하는 .. 2024. 4. 20.
[ETF] ETF의 숨은 수수료 찾기 투자에 있어 수익을 많이 내는 거만큼이나 수수료를 낮추는 게 중요합니다. 부동산과 달리 주식의 경우에는 수수료 금액이 워낙 적어서 신경을 안 쓰시는 경우들이 많은데요. 조금만 시간을 들여서 검색해서 수수료를 줄일 수 있다면 안 할 이유가 없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 투자할 때 꼭 확인해봐야 할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왜 ETF 수수료를 봐야 하는가? 제일 중요한 이유는 장기수익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ETF KBSTAR 미국S&P500나 HANARO 미국S&P500나 TIGER 미국S&P500는 운용방식과 추종지수(S&P500)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수익률은 대동소이합니다. 차이나는 부분은 운용사가 펀드에 대해 부과하는 수수료입니다. 펀드 간 수수료율 .. 2024. 4. 7.
[매주 투자 챌린지] ETF 매수 - 2주차 인증 + ETF 기초정보(상품명) 지난주부터 습관적인 지출들을 줄여서 하루라도 빨리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매주 ETF를 매수하는 투자 챌린지를 시작했습니다. 이번주에도 2주 차 인증으로 투자 챌린지를 이어가겠습니다. 더불어 ETF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내용(상품명)과 투자대상인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 100(TR)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TF 이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투자대상 ETF 2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ETF의 기초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F 상품명만으로도 그 ETF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2016년 한국거래소가 ETF 상품명을 짓는 규칙을 정해놓았기 때문인데요. 규칙은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 사례를 갖고.. 2024. 4. 6.
[매주 투자 챌린지] ETF 매수 - 1주차 인증 내가 원하는 일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사람들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지기 위해 투자공부를 계속해왔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행동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공부로 나만의 투자관을 갖고, 전략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행동을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도 없으니까요. 그래서 매주 절약한 소비나 추가 수입으로 ETF를 매수하는 챌린지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투자 챌린지를 시작한 이유 은연중에 투자는 목돈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푼돈으로 뭘 하나라는 생각에 '목돈을 모을 때까지' 투자공부를 계속할 계획이었습니다. 또 나무를 베라고 주어진 시간의 대부분을 도끼를 가는 데 사용하겠다고 한 에이브러햄 링컨의 명언을 생각하면.. 2024. 3. 26.
국민 '만능통장' ISA 계좌 정부가 ISA 계좌에 대한 혜택을 대폭 확대하면서 2024년 1월 기준 누적가입자 500만 명, 총투자금액 24.6조 원까지 증가했습니다. 아직 500만 명 밖에 ISA에 대해서 들어보지 못한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ISA 계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ISA 계좌란 무엇인가? ISA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하나의 계좌로 주식, 채권, 펀드, REITS, ETF, 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고 절세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서민 재산 형성'을 위해 2016년 처음 도입되었을 때는 활용이 제한적이어서 인기가 별로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수차례 제도개편이 이루어지고 절세 .. 2024. 3. 24.
[경제지표] 미시간대 CSI(소비자심리지수)는 무엇인가? 이전 포스팅(CCI는 무엇인가?)에서 Conference Board의 소비자신뢰지수(CCI)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유사한 Michigan 대학교의 CSI(Consumer Sentiment Index, 소비자심리지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SI는 무엇인가?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1946년부터 미국 소비자의 심리를 조사해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Conference Board의 소비자신뢰지수(CCI)와 함께 제일 많이 사용됩니다. CCI는 월 1회 발표되는데 반해, CSI는 매월 2번째 혹은 3번째 금요일에 예비치, 2주 후 확정치가 발표됩니다. 미시간대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세 보고서는 역시 유료입니다. CSI는 2개의 하위지수로 구성됩니다. 하나는 .. 2023. 7. 4.
[경제지표] CCI(소비자신뢰지수)는 무엇인가? 최근 미국 증시의 상승·하락에 영향을 주는 많은 경제지표들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습니다. 연준 통화정책이 변곡점에 가까이 있어서 더욱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연일 다양한 경제지표들이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지만, 각각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기 어렵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대 인플레이션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 소비자신뢰지수인 CC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계의 심리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 미국에서 소비자의 심리를 조사해서 발표하는 지수는 3가지가 있는데, 이 중에서 Conference Board의 CCI와 미시간대의 CSI를 제일 많이 사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CI, 다음 포스팅에서는 CSI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Conference Board의 Consumer Confidence In.. 2023. 7. 1.
[경제지표] CPI(소비자물가지수)란 무엇인가? 소비자 물가는 경제 전반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책입안자부터 투자자들까지 물가지표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CPI(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이 1980년대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미 연준이 강하고 빠른 긴축을 추진하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유례없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PI(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 인플레이션의 척도 2021년 5월 코로나19 백신접종과 함께 경기가 빠르게 반등하면서 미국의 CPI 상승률이 5%대를 넘어섰습니다. 금융위기 이전인 2008년 이후 10여 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2022년에는 역기저 효과로 인해.. 2023. 6. 10.
[경제지표] PCE(개인소비지출)이란 무엇인가? 2023년 5월 26일, 금융시장이 주목하고 있던 미국 4월 PCE(개인소비지출)가 4.4%로 발표되었습니다. 시장 전망치(4.3%)와 전월 수치(4.2%)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했습니다. PCE는 물가안정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는 미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수이다 보니 6월 FOMC때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PCE는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기에 연준과 금융시장이 주목하는 것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CE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미국 PCE는 크게 관심이 있는 경제지표는 아니었습니다. 미국이 장기간 저물가 상태를 유지한 탓도 있지만, 물가 수준을 확인할 때는 CPI를 참고하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20.. 2023. 6. 3.
[경제지표] 미국 고용(Employment Situation)보고서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도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미국 거시경제 변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고용지표는 주식 및 채권 시장이 주목하는 경제 변수중 하나입니다. 고용은 미국 GDP의 2/3를 차지하는 민간 소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미국 고용(Employment Situation) 보고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미국 노동부 산하의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는 가계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바탕으로 매월 첫째 금요일 오전 8시 30분(ET)에 전월의 고용 관련 통계가 담겨 있는 고용 보고서를 발표합니다. 예를 들면, 이번주 금요일(6월 2일)은 6월의 첫째.. 2023. 5. 29.
[투자 아이디어 찾기] 워렌 버핏의 Top pick 종목 5개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오마하의 현인'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어떤 종목을 매수, 매도, 보유 중인지 궁금하기 마련입니다. 해당종목을 분석함으로써 버펫의 투자 철학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종목에 대해서 갖고 있는 평가 및 전망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약 76%를 차지하고 있는 종목 5개를 살펴보겠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Class A 기준) 수익률은 워렌 버핏이 CEO가 된 1965년 이후 현재까지 약 4,100,000%라고 합니다. 1965년에 1,000만 원을 투자했다면 현재 4,100억 원이 되었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실로 어마어마한 수익률입니다.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장기간 놀라운 수익률을 보일 수 있었던 주요 .. 2023. 5. 29.
[경제지표] PMI(구매관리자지수)는 무엇인가? 2023년 4월 초 발표된 미국 ISM(공급관리자협회)의 제조업 PMI 지수가 시장전망치를 밑돌았습니다. 이에 경기침체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가 우려가 시장에 확산되면서 주식시장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이렇게 시장에 대해 강한 영향력을 갖는 PMI 지수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1. 경제성장의 바로미터인 PMI란 무엇인가? PMI(Purchasing Manager Index, 구매관리자지수)는 미국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공급관리자협회)가 매월 20개 산업, 약 400개 기업의 구매·공급 관리자(Purchasing Manager)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기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산출한 지수입니다. 경기동향을 확인하는데 .. 2023. 5. 16.